[vc_row full_height=”yes” columns_placement=”top” equal_height=”yes” margin_bottom=”10″ type=”vc_default” css=”.vc_custom_1511170555330{padding-top: 40px !important;padding-bottom: 25px !important;}”][vc_column css=”.vc_custom_1475343006227{padding-bottom: 50px !important;}”][bsf-info-box icon=”icomoon-free-social-contact-16×16-telegram” icon_size=”25″ icon_color=”#002e66″ title=”RIVL 뉴스” title_font_size=”desktop:17px;” title_font_line_height=”desktop:24px;”][/bsf-info-box][vc_column_text][/vc_column_text][dt_blog_list cl_image_width=”30%” post_content_paddings=”17px 20px 18px 22px” gap_between_posts=”30px” post_title_font_style=”normal:normal:none” post_title_font_size=”15px” post_title_bottom_margin=”3px” post_category=”n” post_author=”n” post_comments=”n” excerpt_words_limit=”22″ content_font_size=”14px” read_more_button=”off” category=”235″][/vc_column][/vc_row]
최신 글
- 김혜원의 《 사진·문학·인문학의 카르텔 1 》 : 카메라 옵스큐라 안에서의 사색
- 신수정의 삶과 문화 9 : 딸들을 위한 엄마의 제사상 레시피
- 르네상스형 기계가 가능할까?
- 이태호의 답사 스케치20 – 포천 금수정 : 조선 후기 문인화가 정수영의 사생 여정을 따라, 아홉 번째
- 박주석의 사진살롱 45 – 김규진 조상(照相) : 고종황제 어사진(御寫眞)
- 『인공지능 시대의 사진이미지 읽기』 출간
- 이태호의 답사 스케치19 – 포천 사암서원과 창옥병 : 조선 후기 문인화가 정수영의 사생 여정을 따라, 여덟 번째
- 신수정의 삶과 문화 8 : 지구를 그만 파야 한다
- 기계적인, 너무나 기계적인
- 박주석의 사진살롱 44 – 《경성사진사협회》의 망년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