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Institute for
the Visual Language of Korea
COLUMN
신수정의 삶과 문화 9 : 딸들을 위한 엄마의 제사상 레시피
엄마 제사를 한 번은 지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 지 오래됐다. 돌아가신 지 오 년이 지났는데도 명절이 다가오면 지금도 늘 무언가…
르네상스형 기계가 가능할까?
언밸런스, 균형이 맞지 않는다는 뜻이다. 한쪽 발이 길거나 짧으면 절뚝거리고, 젓가락 한쪽이 길거나 짧으면 젓가락질을 제대로 할 수 없다. 고기만 먹거나 채소만 먹으면…
신수정의 삶과 문화 8 : 지구를 그만 파야 한다
코로나19가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다. 연일 확진자 수가 세 자리를 넘어서더니 올봄과 여름에 이은 3차 대유행이 시작되고 있다는 이야기도 심심찮게 들린다. 올 일 년은 아무래도…
기계적인, 너무나 기계적인
뷔리당(Jean Buridan)의 당나귀, 양과 질이 같은 두 건초더미 사이에서 아무 것도 선택하지 못해 결국 굶어죽는다는 우화다. 이성적으로만 생각하면 두 건초더미는…
신수정의 삶과 문화 7 :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다
오랜만에 산에 올랐다. 백두대간 선자령. 강원도 평창의 대관령 휴게소에서 출발하여 중간 지점의 전망대를 지나 정상에 오른 뒤…
유쾌한 삑사리, 위험한 삑사리
네이버 국어사전은 삑사리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노래를 부를 때 흔히 고음에서 음정이 어긋나거나 잡소리가 섞이는 경우를 통속적으로 이르는…
보여주기식 행정의 지양을 바라며…
기록관리 일을 하다 보면 이런저런 기록관리기관의 사례를 상세히 살펴볼 기회들이 많이 생긴다. 해외 사례도 보게 되고, 국내 사례도 살펴보게 되는데…
겉 다르고 속 다른 기계
드라마 에 등장하는 검사 황시목은 어린 시절 뇌수술을 받아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인물로 설정됐다. 당연히 감정 표현도 하지 못한다. 말하자면 모든 상황에서…
신수정의 삶과 문화 6 : 콜럼버스, 레닌, 전두환
미국 백인 경찰의 과잉 진압 과정에서 발생한 흑인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새로운 시대의 선언으로 이어지고…
취향일까, 편향일까
알파고 이후 인공지능은 바둑의 기준이 됐다. 프로기사들은 인공지능의 기보를 보고 배우며 새로운 규칙을 만들어 나갈 정도다. 바둑대회에서 프로기사들이 해설을…
신수정의 삶과 문화 5 : 우리는 남이다!
“우리가 남이가!” 한때 정치권을 비롯하여 우리 사회 전반에서 유행했던 구호다. 혈연, 지연, 학연으로 엮인 네트워크 사회를 살아가는 생존 지침이라고 할 수도…
모방의 시대가 올까?
예술교육 무용론을 주장하는 이들은 교육이 창의적인 예술작품을 생산하는 데 전혀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말한다. 오히려 교육은 새로운 사고를…
NEWS
전시 / 추상의 온도 (Temperature of Abstraction)
활동의 기반을 인문학적 사유에 둔 예술가들의 전시와 그 담론의 활성화를 지원하는…
천경우 작가 『보이지 않는 말들』 출간
본 연구소에서 세미나를 진행하였던 천경우 작가의 단행본이 출시되어 소개드립니다.
전시 / 구본창 《Incognito》 (한미사진미술관)
구본창은 1980년대부터 낯선 삶의 과정 속에서 새롭게 인지한 도시의 곳곳에서 느끼는 소외, 자신에 대한 고민, 빠르게 사라지는 과거의 흔적 등 사적인 경험을 통해 도시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아왔다.
전시 / 2019 서울사진축제 《오픈 유어 스토리지: 역사, 순환, 담론》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은 2019서울사진축제 《오픈 유어 스토리지: 역사, 순환, 담론》을 개최합니다.
전시 / 오상조 – 설화說話의 풍경, 광주시립사진전시관
광주시립미술관이 주최하는 “오상조-설화說話의 풍경”展은 40여 년간 한국의 역사와 문화가 있는 풍경을 사진으로 기록하는 외길을 걸으면서, 사진교육과 지역 사진
전시 / PIXEL, 아라리오갤러리(서울, 삼청)
아라리오갤러리 서울 l 삼청은 2019년 3월 7일부터 4월 21일까지 한국 아방가르드 사진의 선구자이자 예외적 작가 황규태(b.1938)의 개인전 을 개최한다. 본 전시는 작업 초기인 60년대부터
전시 / 100년前 그날의 기록, 한뼘미술관(삼거리갤러리)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여 한 뼘 미술관 삼거리 갤러리에서 3월 1일부터 3월 24일까지 3·1운동 100주년 기념 한국근대사진展 이 개최됩니다.
전시 / 크리스 조던 : 아름다움 너머 (Chris Jordan : Intolerable Beauty), 성곡미술관
크리스 조던 : 아름다움 너머 (Chris Jordan : Intolerable Beauty) 성곡미술관, 2019. 02. 21 – 2019. 05. 05 “크리스 조던: 아름다움 너머”는
전시 / 어떤 것도 아닌, 그러나 (Nothing, But), 갤러리현대
갤러리현대는 2018년 12월 5일부터 2019년 1월 6일까지 시적이면서도 철학적인 사진작업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사진작가 이명호(b. 1975)의 개인전 《어떤
전시 / 나의 길(Mes Route), 공근혜 갤러리
프랑스를 대표하는 사진작가 베르나르 포콩의 최신작 “나의 길” 전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1월 11일 금요일 오후 5시 – 7시 공근혜갤러리에서 전시 오프닝및 신년 파티가 열립니다. 많은 참석 바랍니다
전시 / 핑크 & 블루 프로젝트 III (The Pink & Blue Project III), 일우스페이스
한진그룹 산하 일우재단은 대한항공 서소문 빌딩 1층 로비에 위치한 일우스페이스(一宇SPACE)에서 윤정미(49)의 개인전 ‘핑크 & 블루 프로젝트 III (The Pink & Blue
전시 / 문명-지금 우리가 사는 방법, MMCA과천
국립현대미술관(관장 바르토메우 마리)은 사진전시재단(Foundation for the Exhibition of Photography, 대표 토드 브랜다우)과 공동 주최로 《문명-지금 우리가 사
이태호의 답사 스케치
이태호의 답사 스케치20 – 포천 금수정 : 조선 후기 문인화가 정수영의 사생 여정을 따라, 아홉 번째
나는 2021년 새해 첫날에 포천 영평천의…
이태호의 답사 스케치19 – 포천 사암서원과 창옥병 : 조선 후기 문인화가 정수영의 사생 여정을 따라, 여덟 번째
지우재 정수영은 《백운담(白雲潭)》…
이태호의 답사 스케치18 – 포천 사암서원 앞내 백운계 : 조선 후기 문인화가 정수영의 사생 여정을 따라, 일곱 번째
조선 후기 문인화가 정수영의…
이태호의 답사 스케치17 – 대관령 아래 강릉 능가사의 법관 스님 작업공간
지난 8월 말과 9월 초에 강릉시 구정면 남밭길 능가사에…
이태호의 답사 스케치16 – 우이9곡 재간정(在澗亭) : 조선 후기 문인화가 정수영의 사생 여정을 따라, 여섯 번째
북한산 동쪽의 우이동계곡은…
이태호의 답사 스케치15 – 홍성 용봉산과 월산, 이응노의 집 연못, 고암 이응노 생가기념관에서
‘고암 이응노 생가기념관’에서 답사강의를…
이태호의 답사 스케치14 – 부산 해운대 김종학 작업실과 부산시립미술관 김종학 회고전을 찾아
지난 6월 4일 부산에 다녀왔다….
이태호의 답사 스케치13 – 오월 무등산을 그리다
금년은 광주민중항쟁 4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이태호의 답사 스케치12 – 광주와 마곡에서 미디어 아티스트 이이남을 만나다
오랜만에 광주 무등산의 잔설(殘雪)을 만났다..
이태호의 답사 스케치11 – 다섯 번째 금강산 탐승, 해금강 일출
나는 작년 2019년 2월 설날 연휴 끝에 금강산에 갈 기회가 생겼다…
이태호의 답사 스케치10 – 정월 보름달 뜨고 지고, 서촌에서
세상 시끄럽지만, 올해도 어김없이 2월 8일 저녁에 경자년 쥐해 정월 대보름 달이 …
이태호의 답사 스케치9-중국 길림에서 서파西坡로 오른 백두산
2019년 10월 5일 아침 서쪽 코스로 백두산에 올랐다. 구름 한 점 없는 파란 하늘 아래 …
매주 발행되는 한국이미지언어연구소의 RIVL 통신을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Address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거북골로 34
Email Us
info@visualanguage.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