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c_row][vc_column][dt_blog_list layout=”side_overlap” custom_content_bg_color=”#ffffff” post_content_paddings=”30px 35px 35px 35px” image_paddings=”0% 0% 0px 0%” image_scale_animation_on_hover=”n” loading_mode=”js_more” jsm_posts_per_page=”4″ custom_title_color=”#111111″ post_title_bottom_margin=”7px” post_category=”n” custom_meta_color=”#aaaaaa” meta_info_bottom_margin=”20px” custom_content_color=”#5b5b5b” read_more_button=”default_button” read_more_button_text=”Details” fancy_date=”y” fancy_categories=”y” fancy_categories_font_color=”#ffffff” fancy_categories_bg_color=”rgba(0,0,0,0.8)”][/vc_column][/vc_row]
최신 글
- 이태호의 답사 스케치21 – 포천 화적연 : 조선 후기 문인화가 정수영의 사생 여정을 따라, 열 번째
- 박주석의 사진살롱 46 – 스미소니언박물관의 고종 어사진
- 김혜원의 《 사진·문학·인문학의 카르텔 1 》 : 카메라 옵스큐라 안에서의 사색
- 신수정의 삶과 문화 9 : 딸들을 위한 엄마의 제사상 레시피
- 르네상스형 기계가 가능할까?
- 이태호의 답사 스케치20 – 포천 금수정 : 조선 후기 문인화가 정수영의 사생 여정을 따라, 아홉 번째
- 박주석의 사진살롱 45 – 김규진 조상(照相) : 고종황제 어사진(御寫眞)
- 『인공지능 시대의 사진이미지 읽기』 출간
- 이태호의 답사 스케치19 – 포천 사암서원과 창옥병 : 조선 후기 문인화가 정수영의 사생 여정을 따라, 여덟 번째
- 신수정의 삶과 문화 8 : 지구를 그만 파야 한다